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4월2일 재보궐선거 지역 및 일정, 여러분의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하세요!!

by v 라임 v 2025. 3. 28.
반응형

 

 

 

 

다가오는 2025년 4월 2일, 대한민국에서는 재·보궐선거가 실시됩니다.

 

이 선거는 지역사회의 대표를 선출하는 중요한 과정이므로, 유권자 여러분께서는 선거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숙지하시고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하시기 바랍니다.

 

 

 

 

이번 안내에서는 재·보궐선거의 실시 지역과 일정, 사전투표소 및 선거일 투표소 정보, 그리고 투표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재·보궐선거란?

재·보궐선거는 공직자의 사망, 사퇴, 당선 무효 등으로 인해 해당 직위가 공석이 되었을 때 이를 보충하기 위해 실시하는 선거입니다.

 

'재선거'는 선거 자체가 무효로 판정되어 다시 실시하는 선거를 의미하며, '보궐선거'는 임기 중 공직자가 궐위되어 그 후임자를 선출하기 위한 선거를 뜻합니다.

 

 

이러한 선거는 지역 주민의 대표성을 유지하고, 지방자치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실시 지역과 일정

1. 실시 지역

 

2025년 4월 2일 재·보궐선거는 전국 23개 지역에서 진행됩니다. 주요 실시 지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서울특별시

 

- 구로구청장

- 중랑구의회의원(중랑구 다 선거구)

- 마포구의회의원(마포구 사 선거구)

- 동작구의회의원(동작구 나 선거구)

 

(2)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교육감

 

(3) 대구광역시

 

대구시의회의원(달서구 제6선거구)

 

(4) 인천광역시

 

- 인천시의회의원(강화군 선거구)

- 강화군의회의원(강화군 가 선거구)

 

(5) 대전광역시

 

대전시의회의원(유성구 제2선거구)

 

(6) 경기도

 

- 경기도의회의원(성남시 제6선거구)

- 경기도의회의원(군포시 제4선거구)

 

(7) 충청남도

 

- 아산시장

- 충남도의회의원(당진시 제2선거구)

 

(8) 전라남도

 

- 담양군수

- 광양시의회의원(광양시 다 선거구)

- 담양군의회의원(담양군 라 선거구)

- 고흥군의회의원(고흥군 나 선거구)

 

(9) 경상북도

 

- 김천시장

- 경북도의회의원(성주군 선거구)

- 고령군의회의원(고령군 나 선거구)

 

(10) 경상남도

 

- 거제시장

- 경남도의회의원(창원시 제12선거구)

- 양산시의회의원(양산시 마 선거구)

 

각 지역의 구체적인 선거구와 후보자 정보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 주요일정

 

(1) 후보자 등록 기간: 2025년 3월 13일(목)부터 3월 14일(금)까지, 매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진행됩니다.

 

(2) 선거운동 기간: 2025년 3월 20일(목)부터 선거 전일인 4월 1일(화)까지입니다. 이 기간 동안 후보자들은 공식적으로 선거운동을 펼칠 수 있습니다.

 

(3) 사전투표 기간: 2025년 3월 28일(금)과 3월 29일(토), 양일간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진행됩니다.

 

(4) 선거일 투표: 2025년 4월 2일(수), 오전 6시부터 오후 8시까지 진행됩니다.

 

 

선거일은 공휴일이 아니므로, 투표 시간을 미리 확인하시고 참여 계획을 세우시기 바랍니다.

 

사전투표소와 선거일 투표소

1. 사전투표소

 

사전투표는 선거일에 투표가 어려운 유권자들을 위해 마련된 제도로, 사전투표 기간 동안 해당 선거가 실시되는 지역 내의 읍·면·동마다 1개소씩 설치된 사전투표소에서 진행됩니다.

 

사전투표소는 주소지와 관계없이 해당 선거구 내의 모든 사전투표소에서 투표할 수 있습니다.

 

사전투표소의 정확한 위치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의 재·보궐선거 특집 모바일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 선거일 투표소

 

선거일인 4월 2일에는 선거인명부에 등재된 주소지에 따라 지정된 투표소에서만 투표가 가능합니다.

 

본인의 투표소 위치는 우편으로 발송된 '투표안내문'이나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의 '투표소 찾기' 서비스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투표소는 일반적으로 주민센터, 학교, 공공기관 등에서 운영되며, 접근이 용이하도록 배치되어 있습니다.

 

투표소의 정확한 위치와 안내는 선거일 전에 반드시 확인하시어 혼란 없이 투표에 참여하시기 바랍니다.

 

선거권 요건

선거일 기준으로 만 18세 이상의 대한민국 국민은 선거권을 가집니다. 따라서 2007년 4월 3일 이전 출생자께서는 이번 선거에서 투표하실 수 있습니다.

 

 

정확한 선거권 여부는 시·군·구청 사이트나 우편으로 발송되는 안내문을 통해 선거인명부 등재 여부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투표 방법

투표는 사전투표와 선거일 투표로 나뉘며, 두 경우 모두 본인 확인 절차를 거친 후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사전투표 방법 (2025년 3월 28일 ~ 3월 29일, 오전 6시 ~ 오후 6시)

 

사전투표는 별도의 신고 없이, 사전투표 기간 동안 전국의 사전투표소에서 자유롭게 투표할 수 있습니다.

 

(1) 신분증 지참 및 투표소 방문

 

사전투표소는 전국 어디서나 이용 가능하므로, 주소지와 관계없이 투표 가능합니다.

 

반드시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 사진이 부착된 신분증을 지참해야 합니다. 모바일 신분증(모바일 운전면허증 등)도 사용 가능합니다.

 

 

(2) 본인 확인 및 투표용지 수령

 

신분증을 제시하면 선거관리위원회 직원이 유권자 본인 여부를 확인합니다. 신분증 확인이 완료되면 투표용지를 받습니다.

 

국회의원 선거, 지방자치단체장 선거 등 해당 지역에서 치러지는 선거별로 투표용지가 다릅니다.

 

(3) 기표소에서 기표

 

기표소에 들어가 기표용지에 기표 도구(용구)로 후보자의 이름 옆에 표시합니다.

 

반드시 제공된 기표 도구(기표용 스탬프)를 사용해야 하며, 다른 표시를 하거나 서명을 하면 무효표가 됩니다.

 

한 명의 후보에게만 기표해야 합니다.

 

 

(4) 투표함에 투표용지 넣기

 

기표를 마친 후, 기표용지를 반으로 접거나 훼손하지 않은 상태로 투표함에 넣습니다. 사전투표에서 투표된 용지는 별도의 봉인 절차를 거쳐 선거일 투표 종료 후 개표됩니다.

 

2. 선거일 투표 방법 (2025년 4월 2일, 오전 6시 ~ 오후 8시)

 

선거일에는 선거인명부에 등록된 본인의 주소지 내 지정된 투표소에서만 투표할 수 있습니다.

 

(1) 신분증 지참 및 지정된 투표소 방문

 

선거일에는 반드시 본인의 주소지에 해당하는 지정 투표소에서만 투표 가능합니다.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 공인 신분증을 지참해야 합니다.

 

 

(2) 본인 확인 및 투표용지 수령

 

신분증을 제시하면 본인 여부가 확인됩니다. 확인이 완료되면 선거구에 따라 해당하는 투표용지를 받습니다.

 

(3) 기표소에서 기표

 

기표소에 들어가 기표 도구(스탬프)로 후보자의 이름 옆에 기표합니다. 오직 하나의 후보에게만 기표해야 하며, 여러 후보에게 기표하거나 불명확한 표시를 하면 무효 처리됩니다.

 

절대 투표용지를 훼손하거나 낙서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4) 투표함에 투표용지 넣기

 

기표 후 투표용지를 반으로 접지 않은 상태로 투표함에 넣습니다. 선거일 투표 후 개표가 즉시 진행됩니다.

 

 

3. 거소투표 및 선상투표 방법 (거동 불편자 및 선상 유권자 대상)

 

거동이 불편한 유권자나 선거일 육지에서 투표할 수 없는 선원 등을 위한 별도 투표 방법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1) 거소투표 방법

 

신체적 장애 등으로 인해 투표소 방문이 어려운 유권자는 사전에 거소투표 신고를 하면, 집에서 우편으로 투표 가능합니다.

 

거소투표 신청 기간은 2025년 3월 17일 ~ 3월 21일이며, 신청자는 우편으로 투표용지를 받아 기표 후 다시 발송하면 됩니다.

 

(2) 선상투표 방법

 

바다에서 근무하는 선원 등은 선상에서 우편으로 투표할 수 있습니다. 선상투표 신청 후, 투표용지를 선박에서 작성하여 우편으로 발송하면 투표가 완료됩니다.

 

 

4. 투표 시 주의사항

 

(1) 반드시 공인 신분증을 지참해야 합니다.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

 

(2) 사전투표와 선거일 투표소는 다를 수 있으므로 사전 확인이 필요합니다.

 

(3) 기표 도구(스탬프) 외에 다른 표시를 하면 무효표가 됩니다.

 

(4) 기표 후 투표용지를 접거나 훼손하지 말고 그대로 투표함에 넣어야 합니다.

 

(5) 선거운동 기간에는 공정한 선거를 위해 허위 사실 유포, 금품 제공, 불법 선거운동 등에 대한 신고가 가능합니다.

 

이번 2025년 4월 2일 재·보궐선거는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의 뜻을 반영하는 중요한 선거입니다. 투표 방법을 충분히 숙지하고,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하여 지역과 국가의 발전에 기여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